· WEB-INF 특징

WEB-INF 폴더에 있는 test.jsp 파일은 왜 Chrome으로 볼 수 없던 것 인가?

WEB-INF 폴더의 경우 브라우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이 불가한 경로다.

우리가 앞서 살펴본 localhost:8005/test.jsp와 직접 같이 접근이 불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WEB-INF

장점 : WEB-INF 폴더에 있을 경우 localhost:8005/WEB-INF/test.jsp로 접근이 불가하다. 이로인해 유저의 직접 접근이            어려워 보안성이 높다.

단점 : 직접적으로 view를 볼 수 없다. 또한 직접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a> 앵커 태그로 이동이 불가하며 Controller          를 통해서만 이동을 해야 한다.

<결론>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이 web과 WEB-INF 폴더를 적절히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

1. 작성한 jsp 파일을 바로 view로 보길 원할 경우 web 폴더로 이동

2. 외부 유저가 접근해도 문제없고 본인이 web 폴더에 jsp 파일을 두길 희망할 경우 web 폴더로 이동

3. 보안을 원한다면 WEB-INF 폴더로 이동하도록하자

4.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린다면 가급적 web에 jsp 파일을 두지말고 WEB-INF 폴더에 둬서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도록하자.

+ Recent posts